많이 헷갈리는 맞춤법 총정리! 헷갈릴 땐 이렇게 구분하세요
본문 바로가기

이것저것

많이 헷갈리는 맞춤법 총정리! 헷갈릴 땐 이렇게 구분하세요

728x90
반응형

✏️ 자주 틀리는 맞춤법, 헷갈릴 땐 이렇게 구분하세요!

“안돼”인지 “안 되”인지, “되”와 “돼”는 언제 써야 하는지…
맞춤법은 일상 속에서 늘 마주치지만 자주 틀리는 영역이기도 합니다.
특히 의미는 비슷해 보여도 문법상 전혀 다른 말들이 많기 때문에
기본적인 구분법을 익혀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.


1. ✔️ 되 vs 돼

  • : ‘되다’의 원형이나 활용형
    📌 예: “그렇게 되면 안 돼.”
  • : ‘되다 + 어’ → 줄임말
    📌 예: “그건 .” “돼요, 괜찮아요.”

🧠 : ‘되어’로 바꿔서 말이 되면 ‘돼’가 맞습니다.


2. ❗ 안되 / 안 돼 / 않되 / 안돼

  • 안 돼 (띄어쓰기 必): ‘되다’의 부정
    📌 예: “그렇게 하면 안 돼.”
  • 안되다 (붙여 씀): 형용사형 → 상태나 상황
    📌 예: “요즘 일이 잘 안돼.” → (비표준이지만 구어체로 흔히 쓰임)
    📌 공식 표기: “일이 잘 안 돼.”
  • 않다: ‘~하지 않다’의 부정 표현
    📌 예: “그건 내가 하지 않는다.”
  • 않되, 안돼(붙여쓰기)문법적으로 모두 틀린 표현입니다.

3. ✍️ -던 vs -든

  • -던: 과거에 했던 일, 회상 의미
    📌 예: “어제 입었던 옷”
  • -든: 선택, 조건
    📌 예: “뭘 하 네 마음이야.” “가 네가 결정해.”

🧠 팁:

  • 기억나는 과거 → -던
  • ~하든 말든 선택 → -든

4. 📸 맞히다 vs 맞추다

  • 맞히다: 정답을 맞다
    📌 예: “퀴즈를 전부 맞혔어요.”
  • 맞추다: 시간, 입맛 등 일치
    📌 예: “시간을 맞춰 주세요.”
반응형

5. 📖 않다 vs 안다

  • 않다: 동작 부정
    📌 예: “나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.”
  • 안다: ‘알다’의 현재형
    📌 예: “나는 그 사실을 안다.”

6. 🚫 왠지 vs 웬

  • 왠지: ‘왜인지’의 줄임
    📌 예: “왠지 기분이 이상해.”
  • : 어떤, 어찌 된
    📌 예: “ 일이야 이게?”

7. 🧾 띄어쓰기 – 할 수 있다

  • 올바른 표현: “할 수 있다” (의존명사 ‘수’는 띄어 써야 함)
    ❌ 틀린 예: “할수있다”
    ✔ 바른 예: “너도 충분히 할 수 있어.”

✅ 마무리 꿀팁

✔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은 예문과 함께 기억하면 오래갑니다.
✔ “말이 되는지?” 바꿔보기, 띄어쓰기 확인하기, 네이버/다음 맞춤법 검사기도 유용합니다.
✔ 맞춤법은 ‘실력’이 아니라 ‘습관’입니다. 자주 보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😊

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