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반응형
✏️ 자주 틀리는 맞춤법, 헷갈릴 땐 이렇게 구분하세요!
“안돼”인지 “안 되”인지, “되”와 “돼”는 언제 써야 하는지…
맞춤법은 일상 속에서 늘 마주치지만 자주 틀리는 영역이기도 합니다.
특히 의미는 비슷해 보여도 문법상 전혀 다른 말들이 많기 때문에
기본적인 구분법을 익혀두면 큰 도움이 됩니다.
1. ✔️ 되 vs 돼
- 되: ‘되다’의 원형이나 활용형
📌 예: “그렇게 되면 안 돼.” - 돼: ‘되다 + 어’ → 줄임말
📌 예: “그건 돼.” “돼요, 괜찮아요.”
🧠 팁: ‘되어’로 바꿔서 말이 되면 ‘돼’가 맞습니다.
2. ❗ 안되 / 안 돼 / 않되 / 안돼
- 안 돼 (띄어쓰기 必): ‘되다’의 부정
📌 예: “그렇게 하면 안 돼.” - 안되다 (붙여 씀): 형용사형 → 상태나 상황
📌 예: “요즘 일이 잘 안돼.” → (비표준이지만 구어체로 흔히 쓰임)
📌 공식 표기: “일이 잘 안 돼.” - 않다: ‘~하지 않다’의 부정 표현
📌 예: “그건 내가 하지 않는다.” - ❌ 않되, 안돼(붙여쓰기) → 문법적으로 모두 틀린 표현입니다.
3. ✍️ -던 vs -든
- -던: 과거에 했던 일, 회상 의미
📌 예: “어제 입었던 옷” - -든: 선택, 조건
📌 예: “뭘 하든 네 마음이야.” “가든 말든 네가 결정해.”
🧠 팁:
- 기억나는 과거 → -던
- ~하든 말든 선택 → -든
4. 📸 맞히다 vs 맞추다
- 맞히다: 정답을 맞다
📌 예: “퀴즈를 전부 맞혔어요.” - 맞추다: 시간, 입맛 등 일치
📌 예: “시간을 맞춰 주세요.”
반응형
5. 📖 않다 vs 안다
- 않다: 동작 부정
📌 예: “나는 거짓말을 하지 않는다.” - 안다: ‘알다’의 현재형
📌 예: “나는 그 사실을 안다.”
6. 🚫 왠지 vs 웬
- 왠지: ‘왜인지’의 줄임
📌 예: “왠지 기분이 이상해.” - 웬: 어떤, 어찌 된
📌 예: “웬 일이야 이게?”
7. 🧾 띄어쓰기 – 할 수 있다
- 올바른 표현: “할 수 있다” (의존명사 ‘수’는 띄어 써야 함)
❌ 틀린 예: “할수있다”
✔ 바른 예: “너도 충분히 할 수 있어.”
✅ 마무리 꿀팁
✔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은 예문과 함께 기억하면 오래갑니다.
✔ “말이 되는지?” 바꿔보기, 띄어쓰기 확인하기, 네이버/다음 맞춤법 검사기도 유용합니다.
✔ 맞춤법은 ‘실력’이 아니라 ‘습관’입니다. 자주 보는 것부터 시작하세요 😊
728x90
반응형
'이것저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에어컨 전기세 절약법 & 최신 트렌드 정리🔥 (인버터 vs 정속형, BTU 계산 포함) (9) | 2025.06.20 |
---|---|
[2025 디지털 금융 혁신] 원화 스테이블코인 완전정복 – 제도·투자·전망까지 총정리 (11) | 2025.06.19 |
[2025 금융꿀팁] ISA 계좌 완전정복! 서민형·농어민형 차이부터 국내투자형까지 총정리 (11) | 2025.06.17 |
카카오톡 검열 논란, 신고 기반 열람이냐 사전 검열이냐? (9) | 2025.06.16 |
[쿠팡플레이 스포츠패스 출시] 월 9,900원·와우 멤버십 합산 17,790원 요금제 완벽 분석 (16) | 2025.06.15 |